티스토리 뷰

국가정보원은 북한이 국내 유명 보안 인증프로그램의 보안 취약점을 이용해 해킹을 시도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로 인해 50여 곳이 악성코드에 감염 됐습니다. 그런데 이 프로그램이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에도 설치 되어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그냥 놔두면 여러분의 개인정보도 쉽게 털릴 수가 있습니다. 그러니 매직라인 및 북 해킹에 취약한 보안인증프로그램 2가지를 알려드리니 꼭 악성프로그램을 제거 하시기 바랍니다.

 

 

당장 삭제해야 할 악성 프로그램 : 매직라인(MagicLine4NX)

 

 

첫 번째 북 해킹에 취약한 보안인증프로그램은 바로 매직라인(MagicLine4 NX)입니다. 

 

매직라인은 국가. 공공기관, 금융기관 등 홈페이지에 공동인증서를 활용해 로그인할 경우 본인인증을 위해 pc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한번 pc에 깔리면 사용자가 별도로 업데이트하거나 삭제하지 않으면 최초 상태 그대로 컴퓨터에서 자동 실행됩니다. 이를 통해 보안 취약점이 노출되면 해커가 해킹 경로로 지속적으로 악용할 수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매직라인 삭제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윈도 화면 검색 창에서 프로그램 추가라고 입력을 합니다. 그럼, 오른쪽 화면에 프로그램 추가/제거 화면이 나타납니다. 열기를 클릭합니다.

 

 

악성프로그램 제거 방법
악성 프로그램 제거 방법

 

 

 

앱 -설치된 앱 검색 창에서 magicline이라고 입력을 하면 아래 매직라인(MagicLine4 NX) 앱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버전이 1.0.0.26 이하 버전인지 확인합니다.  저의 경우는 1.0.0.20 버전이라 하위 버전이라 무조건 삭제를 해야 합니다. 

 

 

 

악성 프로그램 제거 방법
악성 프로그램 제거 방법

 

 

해당 앱 오른쪽 점 세 개를 선택 후 제거를 클릭하면 프로그램이 삭제가 됩니다.

 

 

악성 프로그램 제거 방법
악성 프로그램 제거 방법

 

 

 

만약 삭제 후 다시 설치를 하고 싶다면 아래 드림시큐리티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면 됩니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매직라인 제품업데이트 안내 팝업창이 뜨게 됩니다. 거기서 최신버전을 이용하면 됩니다.

 

드림시큐리티 홈페이지
드림시큐리티 홈페이지

 

 

사이버 해킹에 취약한 보안인증프로그램 : 이니세이프(INISAFE CrossWeb EX)

 

 

두 번째 사이버 해킹에 취약한 보안인증 프로그램은 바로 이니세이프(INISAFE CrossWeb EX)입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의 공동인증서로 로그인하거나 전자서명할 때 쓰이는 프로그램입니다.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은 물론 쇼핑몰에서도 인증처리를 위해 사용됩니다. 그렇다 보니 1천만  대 이상의 pc에 이 프로그램이 깔려있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나는 깐 적이 없는데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구형 버전으로 자동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 인지를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꼭 이번 기회에 확인하여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삭제 방법은 매직라인 삭제 방법과 같습니다. 프로그램 추가/삭제 창으로 들어갑니다. 이번에는 설치된 앱 검색창에서 inisafe라고 입력을 하면 아래 해당 프로그램이 나타납니다. 버전이 4.0 이하라면 무조건 삭제해야 합니다.

 

 

악성 프로그램 제거 방법
악성 프로그램 제거 방법

 

 

 

함께 보면 좋은 정보

 

 

 

삼성 갤럭시 화면 캡처 방법 3가지

스마트폰을 사용하다 보면 화면을 캡처해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캡처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사용법이 복잡하면 짜증이 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한 번만 설정해 놓으면 언제 어디서

doit-life.tistory.com

 

 

 

컴퓨터 부팅 속도 3배 빠르게 하는 법 3가지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다 보면 부팅 속도가 느려 속이 터질 때가 많습니다. 특히 급한 업무를 해야 하는데 너무 느리게 켜지면 열이 받게 되는데요, 그렇다고 돈을 주고 서비스센터에서 다시 포

doit-lif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