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2월부터 모든 은행이나 편의점에서 카드나 통장 없이도 ATM기에서 현금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는 사실 아시나요? 뿐만 아니라 NFC 기능이 없는 모든 스마트폰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바로  QR코드를 이용하여 시디기(CD기)에서 ATM 현금인출이 가능합니다. 지금부터 그 방법을 알려드릴 테니 카드가 없다고 걱정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시디기(CD기)에서 QR코드로 ATM 현금인출하는 법

 

지금부터 시디기(CD기)에서 QR 코드로 ATM 현금인출하는 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아래에서 사용방법 파일도 올려놓았으니 다운로드하셔도 좋습니다.

 

QR코드로 현금인출하는법.pdf
1.61MB

 

 

은행 공동 QR 코드 출금 서비서는 안드로이드, IOS 모든 스마트폰에서 이용이 가능합니다. 뿐만 아니라 전 은행   ATM 현금 인출기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전 은행 다 됩니다. 

 

 

먼저 해당은행 모바일현금카드 앱을 엽니다. 만약 설치가 안되어 있다면 먼저 설치를 해 줍니다.  CD기 또는  ATM 기기에서 QR코드 입.출금을 선택합니다. 현금 출금을 누릅니다.

 

QR코드 ATM 출금 서비스
QR코드 ATM 출금 서비스

 

 

QR코드가 출력되면 모바일 현금 카드 앱에서 스캔합니다. 고객정보가 확인되면 확인을 선택합니다.

 

QR코드 ATM 출금 서비스
QR코드 ATM 출금 서비스

 

 

출금금액을 입력 후 출금 권종을 선택합니다. 계좌비밀번호 입력합니다.

 

QR코드 ATM 출금 서비스
QR코드 ATM 출금 서비스

 

 

명세표 선택하면 출금 완료 창이 나타납니다. 앱에서 이용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QR코드 ATM 출금 서비스
QR코드 ATM 출금 서비스

 

 

간단하게 정리하면 모바일 은행 앱 실행 - 출금 옵션 선택 - 금액 입력 - QR코드 생성 -  ATM에서 QR코드 스캔 - 인증 후 현금 인출

 

 

QR 코드 ATM출금 서비스 란

 

QR코드 ATM 출금 서비스는 전통적인 카드나 통장 없이 ATM에서 현금을 인출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사용자는 모바일 뱅킹 앱을 통해 QR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CD기의 QR코드 리더기에 스캔하여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의 도입은 특히 카드 분실이나 도난, 카드 스키밍 같은 보안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은행 공동 QR 코드 출금 서비스 장점

 

1. 편리성

카드나 통장을 갖고 다닐 필요 없이 간편하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2. 보안

카드 스키밍이나 분실 위험이 줄어듭니다.

 

3. 속도

전통적인 방식보다 빠른 거래가 가능합니다.

 

4. 접근성

스마트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현금 출금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1. 12월 서비스 가능 채널

12월에는 공동앱 및 은행 개별앱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모바일 현금카드 참가기관 CD기 및 ATM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내년에는 금융기관 제휴앱 및 모바일현금카드 신규 참가 금융기관 CD기 및 ATM, 점외 CD기 등에서 확대될 예정입니다.

 

2. 보안성 확인

안전한 네트워크에서만 모바일 뱅킹 앱을 사용합니다. 공용 와이파이보다는 출금을 할 때는 본인이 가입되어 있는 모바일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3. 개인정보보호 

 

QR코드 생성 시 주변을 살피고,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합니다. 

 

 

4. 호환성 확인

현재 모든 현금인출기에서 QR코드 출금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해당 은행의 지원 ATM 위치를 미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여신금융협회 내 카드 통합조회 현금화 하는 법

카드를 하나라도 사용하는 분이라면 오늘의 포스팅을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12월 31일까지 카드 포인트를 찾지 않으면 차곡차곡 쌓아두었던 포인트가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더욱 늦

doit-life.tistory.com

 

 

 

 

 

 

 

 

 

 

 

 

 

 

 

 

 

 

 

 

 

반응형